쌀·축산업 생산액 증가

2017년 농업생산액은 쌀과 축산업 생산액 증가에 따라 전년대비 0.8% 증가한 43조2770억원으로 전망된다.

생산액 가운데 재배업 생산액은 지난해 대비 1.3% 감소한 24조3420억원으로 예측된다. 이는 곡물 생산액은 지난해 대비 1.4%(쌀 생산액은 1.2%) 증가하고 과실도 2.2%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지난해 작황부진으로 가격이 급등했던 채소가 생산량 회복으로 지난해보다 가격하락이 예상돼 5.2% 생산액 감소가 예측되기 때문이다. 반면 축산업 생산액은 AI(조류인풀루엔자)발생에 따른 산란계, 오리 가격 상승으로 지난해 대비 3.7% 증가한 18조9350억원으로 추정돼 재배업 생산액을 상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18일 서울 잠실롯데호텔에서 ‘미래를 향한 농업·농촌, 변화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2017농업전망대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20회를 맞은 농업전망에서는 국제질서와 농식품시장의 변화 등 대내외적 환경변화를 짚어보고 대응방안을 검토해 한국 농업·농촌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농업전망 2017에 따르면 2017년 호당 농가소득은 농업소득과 농외소득이 각각 1.8%, 2.4% 증가해 지난해 대비 0.5% 증가한 3831만원으로 추정된다.

2017년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농업생산액 증가로 지난해 대비 1.3% 증가한 26조5650억원으로 전망된다. 이 중 재배업은 투입재비가 지난해보다 상승하고 생산액이 감소해 부가가치는 2.2% 감소한 17조4390억원, 축산업은 사료비가 지난해보다 하락하고 생산액이 증가해 그 부가가치는 지난해대비 8.8% 증가한 9조1260억원으로 예상된다.

2017년 농가인구는 지난해 대비 2.1% 감소한 247만명, 농가호수는 지난해 대비 1.4% 감소한 106만호로 추정된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지난해보다 0.9%p 증가한 40.2%로 예측돼 농가인구의 과소화, 고령화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외국인을 포함한 농촌인구는 귀농·귀촌 증가세 지속으로 지난해 대비 0.4% 증가한 991만명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농업경영비의 경우 국제곡물가격의 하향안정세로 배합사료가격은 지난해 대비 0.5% 하락하겠지만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영농광열비, 영농자재비 등 투입재 가격은 지난해 대비 1.6% 상승할 것으로 보여 지난해 대비 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농업전망 2017은 지난 18일 서울대회를 시작으로 호남권은 다음달 7일 전북도청에서, 영남권은 다음달 9일 경북도청에서 각각 개최된다.

김창길 농경연 원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1998년 1회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 20회를 맞는 농업전망대회는 농업부문 대내외 환경 변화와 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 전망하고 예측력을 높여 생산자, 소비자, 정부 및 관련 종사자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앞으로는 기후, 무역, 소비, 인구 등 대내외 농업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업·농촌에 새로운 희망과 활력을 불어넣는 소중한 정보 공유의 장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