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농업계도 전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빠른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치, 사회, 경제 등 전 영역에서 저마다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우리 미래사회의 구체적 변화는 가늠키 어렵다. 그럼에도 다가올 미래에서 이 같은 변화를 수용하고 리드하는 부문과 저항하고 안주하는 부문의 위치와 영향력은 극과 극의 양상을 불러올 것이 분명해 보인다.

특히 개방화의 파고와 고령화, 인력난 등으로 갈수록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농업계는 지금이 바로 기술·정보 집약사업으로 변모, 농산업을 고도화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다. 전 사회에 걸친 기술혁신 패러다임 속에서 농업이 그 변화를 주도, 미래 산업으로 도약한다면 현재의 침체된 농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만큼 정부를 중심으로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만일 농업계가 주춤거리며 수동적이고 수비적인 자세에 머문다면, 미래 흐름에 걸 맞는 농업·농촌 정책을 펼쳐나가는 것이 지체돼 환경변화에 대응한 첨단 농업 기술 개발 등도 자연스레 후순위로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선두가 아닌 후미에서 그 결과를 수용하는 모습만으로는 미래 농업을 도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농업의 기본을 중시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나, 현재 농업·농촌의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농촌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모든 조직과 부문이 그러하듯 ‘변화’가 필연적이다. 최근 열린 ‘2017 농식품 과학기술 미래전망대회’에서 오경태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장이 클라우드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의 ‘4차 산업혁명에서 중요한 것은 크기가 아니라 변화 속도’라는 말을 인용한 것도 이러한 차원일 것이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이 친(親)농업적 혁명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낙관처럼 우리 농업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존 질서의 재편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아 혁신을 통해 도약할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