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정부는 스마트농업 관련해 연구개발을 3단계로 나눠 시행, 현장에 보급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우선 1세대에는 편의성 향상을 기본 목표로, 2022년까지 시설원예분야 7000ha, 스마트 축사를 5750호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인터넷 연결과 원격감시, 간편 제어를 기술적인 목표로 시공간적인 농작업 제약성을 해소하는 원격 관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2단계는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생육계측을 하고 이를 통한 빅데이터를 통해 생산, 생육 모델을 만들고 여기에 지능제어(AI)를 통해 디지털화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러한 계획을 통해 2025년까지 원예·축산분야 10만호까지 확대 보급한다는 것이다. 
 

마지막 3단계는 글로벌 수출로 설정됐다. 자동화·로봇화, 에너지 효율화, 글로벌 표준을 통한 농업생산 플랜트를 구축해 2025년까지 시설원예 1000농가에 보급을 하고 이를 토대로 2030년 스마트 플랜트 1억달러를 달성한다는 것이다.
 

가히 우리 농업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우리나라 미래농업 플랜을 실현하기에는 국제적인 경쟁력이 아직도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대두된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팜 기술분야와 세부 분야를 구성한 후 기술수준을 평가한 결과 국내 기술수준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69%에 그치고 있다. 수급관리 분야는 그나마 높은 수준이지만 생산정밀화 분야, 농업·농촌 활력분야 등의 기술수준은 열악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우리나라 120개 국가전략기술 등 스마트농업과 연관성이 있는 18개 기술수준은 78%에 머물고 있다. 차세대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과 데이터 분산처리 시스템 기술 등 스마트팜 구현을 위한 기반기술과 핵심 요소기술은 일정수준 확보하고 있지만 실제 스마트팜 현장에 활용 가능한 응용기술은 상대적으로 수준이 낮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유통·물류, 시설원예, 에너지, 농업용 로봇 등은 현장 수요와 활용도를 고려해 실용화 기술에 집중, 국산 제품에 대한 시장 수요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고 있다.
 

스마트농업 관련 연구개발 주체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농업분야라고 해서 해당부처인 농식품부만의 관할이 아니란 것이다. 부처별 주요 연구분야와 역할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협업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개발된 단위기술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협업이 필요하고 센서 국산화와 플랫폼, 클라우드 시스템 등 분야별 기술개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담당하는 등 역할 설정과 협업이 필요하다는 요구다.
 

정부가 추진하는 마지막 단계 스마트팜 수출단계를 위해서는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기자재, 시설,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을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제 우리 농업분야도 글로벌 경쟁시대에 돌입했다. 스마트농업은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경쟁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판단이다.
 

범부처적인 차원에서 스마트농업에 대한 연구개발과 지속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